직업건강 연구동향
본문
보건관리자의 금연프로그램 기획능력이
사업장 금연프로그램 추진에 미치는 영향
정리자. 권은중
- 영진전문대학교 교수
고경리 삼성전자 보건관리자, 백은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연구교수, 정주연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지역금연팀 팀장, 이가람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지역금연팀 주임,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직업건강연구 2023년 12월
-
01목적
흡연은 폐암, 호흡기질환, 심뇌혈관질환 등 심각한 건강문제를 초래하고 조기사망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사업장에서의 금연사업은 접근이 용이하고, 주변 동료들로부터 긍정적인 지지를 얻을 수 있어 흡연자가 금연을 실천하고 지속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직무스트레스와 사업장의 흡연 분위기 등의 장애요인으로 근로자의 금연을 실천하고 사업장 내 금연문화를 정착하기 위하여 사업주와 보건관리자의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업장에 상주하며 근로자 건강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보건관리자의 금연지도자로서의 역할과 자질이 사업장의 금연 성공률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관리자의 금연프로그램 기획 능력을 파악하고 금연프로그램 기획능력이 사업장 금연프로그램 추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금연프로그램을 추진하기 위한 보건관리자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02연구방법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참여에 동의한 총 357명의 보건관리자 중 불완전한 응답과 금연 프로그램 추진 경험이 없는 69개를 제외하고 총 288개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사업장 특성, 금연 프로그램 기획능력, 사업장에서 추진한 금연프로그램 개수는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고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사업장 특성에 따른 금연프로그램 추진 개수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금연프로그램 기획능력과 금연프로그램 추진 개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보건관리자의 사업장 금연프로그램 추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03결과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은 88.2%이었으며, 연령이 40대 미만인 경우가 46.2%로 가장 많았고, 근무경력은 현 직장에서 근무기간이 5년 미만인 경우가 37.2%이었다. 또한 금연프로그램 추진에 필요한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61.5%로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프로그램 추진 개수를 분석한 결과, 현 직장경력과 금연프로그램 추진에 필요한 교육경험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특성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근로자 수와 업종, 건강관리실 유무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금연프로그램 기획능력과 금연프로그램 추진 개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획능력 점수와 금연프로그램 추진 개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금연프로그램 추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현 직장경력, 금연 프로그램 추진에 필요한 교육경험, 업종, 금연프로그램 기획능력으로 나타났다. 보건관리자의 금연프로그램 기획능력이 높을수록 사업장에서 다양한 금연프로그램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04결론
본 연구는 보건관리자의 금연프로그램 기획능력을 파악하고 금연프로그램 추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것으로, 보건관리자가 사업장에서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금연프로그램을 추진하기 위한 기획능력 향상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항목과 프로그램 시행 및 활성화를 위한 항목의 능력은 높지만,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획능력이 부족하므로 보건관리자를 위한 프로그램 기획능력 교육을 기획할 때 우선순위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둘째, 보건관리자의 업종, 경력에 따른 금연프로그램 추진에 필요한 교육과 훈련을 개발하여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셋째, 사업장 금연프로그램 우수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과 보건관리자 멘토링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보건관리자의 역량이 상향 평준화 되도록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