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32 No.5 2025 Sept
지난호 보기
직업건강 이야기

제언

  • 웹진
  • 직업건강 이야기
  • 제언
  • band
  • blog
  • kakao
  • facebook
  • youtube
  • insta

본문

사람과 건강|강주성 소장이 말하는 우리의 현장과 미래

글. 강주성

  • 직업건강협회 건강안전연구소 소장
img

한국직업건강간호협회 직업건강안전연구소 소장으로 새롭게 부임하며
근로자의 건강을 지키는 일선 현장과 함께할 수 있어 기쁘고 감사한 마음 가득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국내 산업현장에서 여전히 안전 재해와 직업성 질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마주하며 막중한 책임감도 느낍니다. 오랜 시간 기업에서 산업보건 업무를 수행해온 제게 연구소장이라는 중대한 소임을 맡겨 주신 만큼, 협회의 비전인 ‘일하는 사람들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는 최고의 직업건강 전문기관’에 걸맞은 역할을 수행하겠습니다. 회장님의 경영방침과 함께, 협회의 사명에 부합하는 연구소의 방향을 찾고 실행해 나가겠습니다.

아직은 소장으로서의 임무를 시작한 단계이기에, 성급히 비전을 말씀드리기보다는 우선 내부 구성원들과 충분히 논의하고 협회 내 여러 부서와 소통하며 방향을 정립해 나가고자 합니다.
그 과정에서 타 산업보건기관의 운영 사례도 경청하고, 보다 나은 실천방안을 고민하겠습니다.

우선적으로는 연구소의 본연의 역할인 보건진단,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컨설팅 업무의 내실을 다지는 데 집중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에게 실질적인 건강관리 효과를 제공하고, 나아가 회원 여러분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산업보건 정보를 제공하는 등 협업체계를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연구소의 역할과 위상을 높이기 위한 고민과 노력을 꾸준히 이어갈 것이며,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과 제안 또한 귀 기울여 듣겠습니다.

아직도 산업현장에서는 일을 하다 다치거나 병에 걸리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3년이 지났지만 중대재해는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사회 전체의 안전문화 성숙과 함께, 산업보건 전문가의 실천적 역할이 절실한 시기임을 보여줍니다.

‘잔잔한 호수에 던진 돌멩이 하나가 동심원을 이루듯,
한 사람의 생각과 간절한 희망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 한 분 한 분의 진심 어린 실천이 산업현장을 바꾸는 힘이 될 것입니다.

산업보건에 종사하는 우리의 업은 그 자체로 누군가를 돕는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며, 우리의 삶의 자부심입니다. 현장에서 고군분투하고 계신 보건관리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리며,
여러분의 사명감이 곧 근로자의 건강과 우리 사회의 안전을 지켜내는 초석이 되리라 믿습니다.
다시 한번 여러분을 뵙게 되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