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32 No.4 2025 July
지난호 보기
협회 이야기

사업소식

  • 웹진
  • 협회 이야기
  • 사업소식
  • band
  • blog
  • kakao
  • facebook
  • youtube
  • insta

본문

건강디딤돌 지원 사업장 현장모니터링

글. 송선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협회 사업지원국 국장
img

‘건강디딤돌’ 사업이란, 안전보건공단에서 재정이 열악한 소규모 사업장에 산업보건 기초제도 이행에 필요한 재정을 지원하고, 취약 사업장 발굴 및 사후관리를 통하여 노동자가 깨끗한 작업환경에서 건강하게 일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이다.
대상 사업장은 ① 작업환경측정의 경우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가입한 사업장 중 고용보험 피보험자 50인 미만 사업장*, ② 배치 전 건강진단 및 특수건강진단의 경우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가입한 사업장 중 고용보험 피보험자 50인 미만 사업장**, ③ 배치 전 건강진단 및 특수건강진단 대상 업무 종사 건설일용직, ④ 공동주택에서 경비·청소원을 사용하는 사업장이다.
* 시행규칙 제186조 제1항 별표 21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 보유 사업장에 한함
** 시행규칙 제201조 별표 22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보유 사업장에 한함
‘현장 모니터링’이란 건강디딤돌 사업이 적정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실시 기준(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에 관한 고시,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기준, 근로자 건강진단 실무지침 등)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현장 심사를 통해 비용지원의 적정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사업을 통해 비용지원 사업이 적정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함으로써 측정 누락, 과다 청구, 부정 청구 등을 확인하여 근로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공공 재원이 낭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우리 협회는 근로자가 건강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건강디딤돌 지원 현장 모니터링』 사업을 3년간 수행하였으며, 이 사업은 안전보건공단의 건강디딤돌 사업 비용지원을 받는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작업환경측정기관, 특수건강진단기관이 공단에 전송한 측정 비용 청구 건에 대해 측정·특검(배치 전 검진 포함) 항목의 적정성을 조사하고, 근로자 건강 보호 사업 안내 및 상담 제공을 통해 예산 집행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비용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사업수행 과정

1. 사업수행 업무 매뉴얼 제작

  • 표준화된 업무 매뉴얼을 통해 사업수행의 표준화 및 사업의 성과를 높이고자 함
  • 구성 내용 : 사업의 개요, 사업수행 방법, 모니터링 점검표 및 작성 방법, K2B입력 방법, 관련 법령 및 OPL자료, Q&A

<업무 매뉴얼>

2. 사업수행 방법

  • 사업 기간: 2024. 7. 23.~2024. 12. 6.
  • 사업 대상: 작업환경측정, 특수건강진단 기관이 공단에 전송한 비용 청구 건에 대해 공단이 심사를 통해 사업장 방문 모니터링을 요청한 사업장, 3,000개소
  • 수행 요원: 산업보건 경력이 있는 간호사, 산업위생관리기사 등 50여 명
  • 수행 절차

<사업수행 절차>

  • 추진전략

3. 사업수행 내용 및 방법

  • 사전 직무교육 실시
    • - 사업 시작 전 수행요원을 대상으로 직무교육 실시
    • - 교육 내용
    구분 교육 내용
    수행 전 직무교육 건강디딤돌 사업 및 현장모니터링 안내
    작업환경측정모니터링 점검표 작성 기준
    특수건강진단모니터링 점검표 작성 기준
    전산 프로그램 사용법
    개인정보보호 교육

    <사전 직무교육>

  • 현장 OJT실시

    <현장 OJT>

  • 현장 모니터링
    구분 항목 비고
    방문 전
    • 공단 사업장에 공문 발송
    • 일정을 협의 및 사업의 목적을 설명(전화)
    • 작업환경측정,특수검진결과표, 물질안전보건자료 구비하도록 설명
    개인정보보호 및 청렴 이행
    방문 중중
    • 사업장 현황파악
    • 측정, 특검 결과표 확인 후 모니터링 세부 점검사항 확인 : 항목의 적정성, 부당청구 등
    • OPS자료 제공 및 근로자건강센터 사후관리 안내
    방문 후
    • 전산(K2B)입력 : 모니터링 점검표 및 현장조사 확인서 업로드
    • 모니터링 결과 공단 보고
  • 모니터링 점검표 작성
    구분 항목 비고
    작업환경측정 모니터링 점검표
    • 예비조사 3항목
    • 측정결과 3항목
    • 예산집행의 투명성 3항목
    • 기타 2항목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정보수집 이용·수집 동의
    특수건강검진 모니터링 점검표
    • 특검 결과 4항목
    • 예산집행의 투명성 2항목
    • 기타 2항목
    현장조사확인서/ 사후관리신청
    • 환수가 필요한 항목 내용 기술
    • 관련 증빙 첨부/사업담당자 서명
    • 사후관리 신청서 공단 송부
    • 입력 후 공단
  • 건강진단 사후관리 및 근로자 건강 보호 사업 안내
    • - 작업환경측정 사업장 중 특수건강진단 필요 사업장 비용지원 사업 안내
    • - 검진결과 확인 후 사후 관리가 필요한 근로자(C1, D1)는 근로자건강센터 연계 안내
  • 자료제공
    • - 건강디딤돌 사업 안내, 근로자건강센터 안내
    • - 화학물질 취급, 소음성난청 예방 등 자료 등 제공
  • 자문회의
    • - 산업보건전문가(직업환경전문의, 산업위생 분야 교수, 산업간호 분야 교수 등) 구성
    • - 사업추진 시 자문
    • - 사업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 제시 등
  • 실무자 회의
    • - 모니터링 사례공유
    • - 사업 운영 시 현안 논의
  • 자체모니터링 실시
    • - 목적 : 사업수행 중 발생하는 문제점, 보완사항 및 사업수행의 적정성 확인을 하기 위해 방문사업장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실시
    • - 목표 : 3,000개 사업장 중 5% 이상 실시
    • - 내용 : 사업목적· 사업취지 설명, 건강보호 사업 안내, 지식의 향상, 인식개선, 청렴도,친절도

    <모니터링 절차>

사업수행 결과

1. 추진실적
  • 사전 직무교육 실시
    • - 목표 3,000개소에서 전국적으로 3,012개소 수행 완료하였으며, 목표 대비 100.4%의 추진율을 보였다.
    • - 분야별로 추진현황을 보면 실적 3,012개소 중 작업환경측정과 특수검진을 모두 실시한 사업장은 184개소(6.1%), 작업환경측정만 실시한 사업장은 1,156개소(38.4%), 특수건강검진만 실시한 사업장은 1,672개소(55.5%)였다.
2. 항목별 점검내용
  • 작업환경측정 비용지원사업장 항목별 점검 현황
    • - 수행사업장 3,012개소 중 작업환경측정 사업장 모니터링 점검은 총 1,156개소로 38.4%를 실시하였다.
    • - 항목별 점검 내용을 보면 예비조사, 측정결과, 예산집행 투명성 순으로 부적정이 나타났으며.
    • - 예비조사에서는 부적정 비율이 가장 높았던 항목은 “공정별 유해화학물질 사용 실태 파악의 적정성”으로 나타났으며, 측정결과 조사에서는 “측정 대상 유해인자 선정의 적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 특수검진 비용지원사업장 항목별 점검 현황
    • - 수행사업장 3,014개소 중 특수건강검진 사업장 모니터링 점검은 총 1,586개소를 실시하였다.
    • - 항목별 점검 내용을 보면 특검 결과는 98.5%가 적정으로 점검되었으며 예산집행의 투명성은 99.7%가 적정으로 나타났다.
    • - 특검 결과에서 부적정 항목은 “이상소견이 있는 근로자 사후관리 적정성” 다음으로 “특수건 강진단 실시 항목의 적정성”순으로, 예산집행의 투명성 항목에서는 “부당청구 확인” 57개소 순으로 확인되었다.
    • - 사후관리가 필요한 근로자건강센터 안내는 총 2,542명이였다.
  • 건설업 일용직 건강검진 비용지원사업장 항목별 점검 현황
    • - 건설일용직 특수건강 건강검진 모니터링 점검은 165개소 수행하였다.
    • - 특검 결과에서 부적정 항목은 “이상 소견이 있는 근로자 사후관리 적정성”이, 부당청구 확인은 야간비대상 검진, 사업주 검진이 있었다.

참고 자료

    작업환경측정 모니터링 점검표

  • 현장조사 확인서

  • 특수건강검진 모니터링 점검표

  • 현장조사 확인서

  • 사후관리신청서

  • 건강디딤돌 사업 안내

  • 근로자건강센터 안내

  • 직업병예방 기술지원 자료

화학물질관리 기술지원 자료

참고 자료

  • 2023년 건강디딤돌 사업 중 작업환경측정 비용지원 사업은 75,419개 사업장에 2,310.53억 원을 지원하였고, 특수건강진단 비용지원 사업은 근로자 514,682명에게 3,108.8억 원을 지원하였다. 이 사업에는 작업환경측정기관 192개소, 특수건강진단기관 257개소,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기관 75개소가 참여하였다.
  • 안전보건공단은 정부 재원으로 이루어지는 건강디딤돌 사업이 적정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재정을 보호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으로 관리를 하고 있다. 하나는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비용지원사업 후에 전산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적정 항목 검사 여부, 적정 수가 청구 여부 등을 심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본 사업에서 진행한 사업장 현장 모니터링이다.
  • 본 사업을 통해 비용지원 사업이 적정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현장 모니터링함으로써 측정 누락, 과다 청구, 부정 청구 등을 확인하여 근로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공공 재원이 낭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었다.
    또한, 측정 사업장 중 특검 필요 사업장에게 특검 비용지원을 안내하고, 검진 결과 사후관리가 필요한 근로자를 근로자건강센터에 연계해 줌으로써 소규모 사업장 및 근로자에게 직업건강서비스 접근성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사업이다.
    건강디딤돌 지원사업 현장 모니터링 개선 방안, 충실화 방안, 사후관리 강화, 건강디딤돌 지원사업 확대에 대한 제언을 끝으로 본 사업을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