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32 No.4 2025 July
지난호 보기
보건관리자 역량강화

직업건강 연구동향

  • 웹진
  • 보건관리자 역량강화
  • 직업건강 연구동향
  • band
  • blog
  • kakao
  • facebook
  • youtube
  • insta

본문

국내 보건관리자 역할 개념 분석(1994-2024)

글. 김지윤

  • 가천대학교 교수
논문저자 :
문다은 한국기계연구원 선임행정원(보건관리자), 박춘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기술원(보건관리자)/ 직업건강연구 2025년 2월
img

01목적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에서 보건관리자 제도의 변화 및 발전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건관리자의 역할 개념을 명확히 정의함으로써 보건관리자 역할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02연구방법

Walker와 Avant(2019)의 개념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1994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 문헌 및 학술 저널을 분석하였다. 보건관리자의 역할 및 업무를 다룬 연구 중 국내 발표 논문 518편을 1차적으로 조사한 뒤, 제외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9편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정책 문서 및 정부 보고서를 추가로 검토하였으며, 추가 키워드를 활용하여 참고문헌 8편을 더 확장하였다.

03결과

보건관리자의 역할은 제도 초기 직업병 예방 및 산업재해 방지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서 출발하여, 이후 정신건강 관리, 감염병 예방, 다문화 근로자 지원 등으로 그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분석 결과 도출된 보건관리자의 주요 역할 속성은 다음과 같다.

  • 1. 기획 및 문제 해결 능력
  • 2. 건강증진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역량
  • 3. 협업 및 네트워크 구축 능력
  • 4.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상담 능력
  • 5. 행정 및 조직 관리 능력
  • 6.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역량
  • 7. 심리적 지원 및 정신건강 관리 역량
  • 8. 법적 규제 준수 및 안전보건 체계 유지 능력
  • 9. 다문화 및 다양한 근로자 요구에 대한 대응 역량

04결론

보건관리자는 근로자의 건강 보호와 직업건강 시스템 강화를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사업장 내부를 넘어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전파하고, 지역사회 보건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 인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보건관리자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 제공, 자격 요건 강화를 통한 양질의 인력 확보, 그리고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보건관리자의 전문성과 실천 기반을 강화하고, 향후 관련 정책 개발에 있어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