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31 No.5 2024 Sept
지난호 보기
보건관리자 역량강화

직업건강 연구동향

  • 웹진
  • 보건관리자 역량강화
  • 직업건강 연구동향
  • band
  • blog
  • kakao
  • facebook
  • youtube
  • insta

본문

남성 배달원의 직업적 특성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정리자. 권은중

  • 영진전문대학교 교수
논문저자:

김은정 (주)두산 유통사업부 선임,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백은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연구교수, 이종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직업건강연구 2023년 4월

img
  • 01목적

    산업환경의 변화로 인해 배달원과 같은 새로운 직종의 수요가 급증하였으나, 기존의 산업안전보건법은 이러한 직종을 보호하기 어려웠다. 1990년에 개정된 법이 28년 만에 전면 개정되면서 법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배달원과 같은 플랫폼 종사자들이 법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유통업의 온라인 전환과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배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배달원의 업무부담이 커졌고, 이에 따라 과로사와 같은 산업재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배달원의 피로 요인에 대해 일부 분석하였으나, 다양한 배달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남성 배달원의 직업적 특성과 피로 정도를 분석하여 피로 예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02연구방법

    연구는 남성 배달원의 직업적 특성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술적 단면 조사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제6차 근로 환경조사(2020) 원시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50,538명 중 '배달원'으로 분류된 532명이었으며, 이 중 여성 46명을 제외한 남성 배달원 486명이 최종 연구에 포함되었다.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는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성, 피로 관련 문항을 포함하였으며, 피로는 업무상 전신 피로 여부로 분석되었다. 데이터 분석은 SPSS 21을 사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분석으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에 따른 피로 비율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 03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39세 이하가 44.7%로 가장 많았고, 교육 수준은 고등학교 졸업이 70.6%였다. 근속연수는 400만 원 미만이 63.5%로 가장 많았다. 연령, 근속연수, 소득에 따른 피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직업적 특성에서는 주당 근로시간이 52시간 이상이 47.4%였고, 온도변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육이 38.9%, 연기·흄·분진 흡입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16.1%, 근골격계 부담작업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90.7%였다. 피로는 주당 근로시간, 온도변화, 연기·흄·분진 흡입, 근골격계 부담작업, 정신적 스트레스 상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요통, 근육통, 불안감도 피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주당 근로시간이 52시간 이상인 근로자는 40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비해 피로가 있을 가능성이 약 6.323배 높았고, 온도변화가 있는 경우 피로가 있을 가능성이 약 2.185배 높았다. 요통이 있는 경우는 약 2.956배, 근육통은 약 2.298배, 불안감은 약 5.739배 피로가 있을 가능성이 높았다.

  • 04결론

    본 연구는 남성 배달원의 직업적 특성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근로시간은 피로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정량적 관리점이기 때문에 법정 근로시간 제정 취지와 준수 의미를 기업과 배달원에게 교육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기업에서도 근무시간 제한제도를 마련하여 근로자의 피로로 인한 기업의 손실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불안감, 근육통, 요통 등 건강 문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과 더불어 시간과 공간 제약이 적게 운영될 수 있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해 보인다. 근로자 본인이 증상 자각 시 근로자건강센터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거나 관련 지원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알려주는 내용도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